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
- bash
- 로그인불가
- miniconda
- endpoint security
- proxycfg
- application security
- pfsense
- xe guest utilities
- centos 8
- ansible
- ssh key 배포
- macos
- GitLab
- hardening
- elastic stack
- Elasticsearch
- Kibana
- x-pack
- 한글가이드
- XCP-ng
- G-suite
- PlayBook
- ELASTIC
- Proxy
- Kibana server is not ready yet
- 보안양파
- Windows
- freebsd
- docker
- Today
- Total
선 밖에 선 자유인
sublime text2 EUC-KR 설정 방법 본문
한글 글꼴 설정하기
Preferences > Settings - Default를 선택해서 기본 설정 파일을 연다. 그리고 font_face에 요즘 많이 쓰이는 나눔고딕코딩 글꼴 이름을 적어준다. 주의할 점은 영어로 적어야 하므로 nanumgothiccoding 이라고 적어주면 된다.
하지만 이것만으로는 윈도우에서는 끝난게 아니다. 여기까지 설정을 마치고 글자를 입력해보면 영문은 원하는 글꼴대로 잘 입력이 되지만, 한글의 경우에는 보기싫은 명조체인지 바탕체인지 모를 그것이 적용되어 보인다.
그래서 그 밑으로 몇 줄 내려가면 보이는 font_options에다가 directwrite 옵션을 추가해준다. 그러면 이제 한글에서도 나눔고딕코딩 글꼴이 이쁘게 나온다.
EUC-KR 인코딩 설정하기
우선 package control을 설치해야한다. Ctrl + ` (저 악센트, 억음 부호; 키보드 숫자 1 왼쪽)을 눌러서 콘솔 창을 연다. 그리고 아래 명령문을 복사해서 붙여넣기하고 엔터로 실행한다.
import urllib2,os; pf='Package Control.sublime-package'; ipp=sublime.installed_packages_path(); os.makedirs(ipp) if not os.path.exists(ipp) else None; urllib2.install_opener(urllib2.build_opener(urllib2.ProxyHandler())); open(os.path.join(ipp,pf),'wb').write(urllib2.urlopen('http://sublime.wbond.net/'+pf.replace(' ','%20')).read()); print('Please restart Sublime Text to finish installation')
설치를 마쳤으면 Sublime을 재시작하라는 메시지가 콘솔 창에 뜨니까 재시작을 해준다. 그리고 이번엔 Ctrl + Shift + p를 눌러서 검색창에 install을 입력하면 Package Control: Install Package이 검색되는 걸 볼 수 있다. 해당 메뉴를 선택하고 다시 검색창에 CovertToUTF8을 입력하면 해당 패키지가 검색되고, 해당 패키지를 설치하면 이제 EUC-KR 인코딩을 사용할 수 있다.
출처 : http://gsongsong.tistory.com/13 (Do chicken 님 블로그)